반응형 개인공부/Tableau10 [Tableau] Tableau Cloud 서비스 상태 확인 Tableau Cloud는 아시아의 경우 일본과 호주쪽에 서버가 있다. 해당 서버가 다운이 되면 클라우드 접속이 불가능한데 어느 지역의 서버가 죽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의 URL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. Tableau Cloud 서버 현황 : https://trust.tableau.com/만약 태블로 클라우드에 접속이 안 될 경우 해당 페이지에 들어가서 본인이 서비스 받고 있는 국가의 상태가 정상적으로 작동중인지부터 확인하면 좋을 듯 하다. 2024. 6. 27. [Tableau] 대시보드에서 시트 보였다 안보였다 (on/off) 설정 방법 Tableau Desktop 2022.3 버전에 새로운 기능이 등장했다. 바로 대시보드에서 시트를 온/오프 할 수 있는 기능을 새로이 만들어주었다는 것이다. 이 기능이 등장하기 전에는 매개 변수를 생성 후 동작에서 필터 기능을 통하여 만들었었는데, 매개 변수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은 기존과 동일하지만 이제 동작에 들어가지 않고 클릭 몇 번 만으로 온오프 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. 1. 부울형 매개 변수를 생성한다. 2. 대시보드에 원하는 시트를 구성 후 온오프 설정할 시트를 선택한다. 3. 좌측에 메뉴에서 레이아웃 탭을 선택 후 하단에 있는 '값을 사용하여 표시 유형 제어'를 선택하고 드롭 다운을 해보면 본인이 생성한 불린형 매개 변수가 리스트에 보이게 된다. 4. 매개 변수를 선택 후 대시보드에서 .. 2024. 1. 12. [Tableau] 차원이 없는 FIXED(LOD)의 의미 원래 LOD(FIXED, INCLUDE, EXCLUDE)식의 표현 방법은 { FIXED/INCLUDE/EXCLUDE 차원 : 집계식(COLUMN) } 으로 표현한다. 예) Category별 Sales의 합계 고정 { FIXED [Category] : SUM(Sales) } 기본적으로 이렇게 식을 써야하지만 간혹 약식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. { SUM(Sales) } 위와 같이 식을 쓸 경우에는 { FIXED : SUM(Sales) } 이와 동일한 결과값이다. 즉 전쳉에 대해 값을 고정하는 식이 된다. 아래의 URL에서 통합 문서 다운로드 후 식 확인 가능 https://public.tableau.com/app/profile/youngjin.kwon6406/viz/FIXED_CALCULATION/FIXED 2024. 1. 10. [Tableau] Tableau Custom Map, Offline Map Tableau에서는 지도 차트를 제공하는데 여러 기업들이 오프라인 환경에서 서버를 구축하는 경우가 많다. 이러한 경우 오프라인의 지도를 사용하면 depth가 5레벨인 지도까지만 지원하는데 6, 7~~ 수준의 레벨까지 보고 싶은 경우 해당 파일을 vworld나 타일 형태의 이미지 파일을 다운받아 로컬에서 태블로가 참조하는 경로에 위치시키면 더 깊은 레벨 수준을 사용할 수 있다. 기본적으로 Tableau Desktop, Tableau Server에서 참조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. ○ Mac의 Tableau Desktop - /Users//Documents/내 Tableau 리포지토리/맵 원본 ○ Windows의 Tableau Desktop - C:\Users\\Documents\내 Tableau 리포지토리\.. 2024. 1. 3.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